본문 바로가기
주식

[두산퓨얼셀] 발전용 수소 연료전지 1등 두산퓨얼셀 기업분석 및 투자포인트

by 유노brain 2024. 11. 16.
반응형

두산퓨얼셀 주가 분석

2024년 11월 15일 기준으로 두산퓨얼셀 주가는 15,000원입니다.

1년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두산퓨얼셀 5월 중순에 깜짝 상승한 것을 제외하고는 계속해서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왜 이렇게 계속 하락 추세를 보이는지 또 두산퓨얼셀은 어떤 회사인지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두산퓨얼셀 사업 개요

두산퓨얼셀은 수소경제 전환에 맞춰 2019년 10월 설립되었으며, 주요 사업은 발전용 연료전지 기자재 공급과 장기유지보수 서비스입니다.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에 있어서 누적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뿐 아니라 해외시장 확대와 신사업 개발을 통해 성장 기회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또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수소 관련 기술 개발과 신사업을 통해 '수소 경제의 기술 리더'라는 비전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품목별 현황 분석

2024년 9월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두산퓨얼셀의 매출 구성은 발전설비와 연료전지 주기기, 연료전지 유지보수 서비스로 나뉩니다. 제품 및 서비스별 매출 비율을 살펴보면, 연료전지 주기기와 발전 설비의 매출 비율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반면, 연료전지 유지보수 서비스의 매출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과거에 두산퓨얼셀의 주요 매출원은 발전설비로, 전체 매출의 약 60% 이상을 차지했으나, 현재는 매출 비율이 37%로 크게 감소했습니다. 이에 반해, 연료전지 유지보수 서비스는 안정적인 수익원으로 자리 잡으며 비중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판매경로 및 전략

두산퓨얼셀의 발전용 연료전지 판매는 공공 및 민간 발전사업자가 진행하는 경쟁입찰을 통해 이루어지며, 발주처와 주기기 공급계약을 체겨합니다. SPC 사업에서는 주주사와의 협업을 통해 사업성을 검토하고 Project Financing을 거쳐 계약을 체결합니다. 2022년 12월부터 시행된 청정수소 발전의무화제도(CHPS) 하에서는 수소발전 입찰시장에서 발전사업자와 공동으로 사업을 개발하여, 낙찰 시 최종 공급계약을 맺습니다. 공급 후에는 장기유지보수서비스(LTSA) 계약을 체결해 안정적인 운영을 지원합니다.

 

판매전략으로 두산퓨얼셀은 발전용 연료전지의 원가와 품질 경쟁력을 강화하며, 다양한 사업 모델 개발을 통해 시장과 고객 요구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중장기적인 시장 확장과 점유율 확보를 위해 신규 모델 적용 사업 기반을 구축하고, 차세대 수소 연료전지(M500) 개발을 추진 중입니다.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해 중국 포산시에 수소 에너지 시범사업에 참여해 국내 최초로 발전용 연료전지를 수출했으며, 중국 현지 기업과 협력 계약을 체결하여 사업 확대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또한, 남호주 주정부와 수소산업 육성 협약을 맺어 해외 사업 기회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재무제표

 

최근 재무제표를 보면, 매출이 다소 변동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3년에는 매출 감소와 함께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지속적으로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3년 3분기에는 영업 손실이 크게 증가하여 운영 비용이 매출을 초과하고 있는 상황으로 보입니다.

 

자기자본이익률(ROE)가 상당히 낮은 값을 보이며, 이는 자본 효율성이 낮다는 점을 나타냅니다. 또한 주당순이익(EPS)가 최근 마이너스를 기록한 만큼 주주 입장에게는 부정적인 측면이 많이 보이고 있습니다.

 

 

투자포인트

  • 친환경 에너지 전환과 수소 경제의 성장 가능성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이 탄소 중립 목표를 위해 수소 경제를 육성하고 있어, 두산퓨얼셀의 사업 영역이 장기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큽니다.
  • 우수한 기술력과 제품 경쟁력
    두산퓨얼셀은 고효율, 고안정성의 연료전지를 개발하여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특히 차세대 수소 전소 모델(M500) 개발을 통해 효율성과 안정성을 더욱 강화하고 있으며, 이는 시장 점유율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입니다.
  • 해외 시장 확장을 통한 성장 기회
    두산퓨얼셀은 국내 성공을 기반으로 중국, 호주 등 해외 시장에 적극 진출하여 매출 확대와 사업 다각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친환경 산업 성장에 발맞춘 전략으로 평가됩니다.
  • 안정적인 수익 창출을 위한 장기 유지보수 서비스
    장기 유지보수 서비스(LTSA) 계약을 통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하고 있어, 수익 안정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입니다.
  • 정부 정책의 수혜 가능성
    한국의 청정수소 발전의무화제도(CHPS) 등 정부 정책이 수소 관련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어, 두산퓨얼셀이 수혜를 볼 가능성이 큽니다.

 

 

참고자료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1000362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