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칼럼5

노동자만 양성하는 한국 대학(동아일보: AI시대, 대학은 '제2 백남준'을 키워야한다') https://weekly.donga.com/society/article/all/11/5155633/1 AI 시대, 대학은 ‘제2 백남준’을 키워야 한다10년 전부터 한국 대학들은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단순히 학령인구 감소나 대학 정원 축소를 말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 문제들은 표면적 징후일 뿐이다. 대학 본질이 훼손되…weekly.donga.com김재준 국민대 국제통상학과 교수의주간동아 AI시대, 대학은 '제2백남준'을 키워야한다를읽고 작성한 칼럼입니다. 학문적 깊이보다는 취업을 우선시 하는 한국 대학 학생도 문제 필자는 지방국립대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서 이번 칼럼에 깊이 공감한다. 대학(大學)의 의미는 '큰 대'와 '배울 학'으로, 많은 것을 배워 깊이 있는 학문을 쌓는 곳이라고 생각한다. .. 2024. 9. 23.
일제강점기를 부정적으로만 볼 수 있는가? https://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3&art_id=202409020600021 “조선인은 일본인? 시대적 맥락 도외시한 주장은 맞지 않다”“일제강점기 우리 선조들의 국적은 어디인가.” 누군가에게는 복잡하지만,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단순한 질문이다. 이 문제를 복잡하게 고민해야 하는 것은 역사 및 국제법 등의 학...weekly.khan.co.kr이 글은 주간경향을 읽고 작성한 칼럼입니다.  일제강점기 시기 "조선인 = 일본인" 논점에 대해일제강점기 당시 조선인을 일본인으로 간주하는 주장은 타당하지 않다. 국가와 민족은 동일선상에 놓을 수 없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분쟁을 살펴보면, 이스라엘 국경 내에 이스라엘과 .. 2024. 9. 11.
미국은 왜? 일본의 오염수 방류를 선택했는가? 미국은 동아시아의 성장을 두려워한다. 위의 제목 말대로 미국은 동아시아의 성장을 두려워한다. 현재 GDP 3위로 한 때 미국의 경제를 위협했던 일본, 2010년 시진핑 이후 급격하게 성장해 현재 GDP 2위이자 미국의 패권에 도전하고있는 중국, K-pop 열풍으로 한나라의 문화가 전세계에 영향을 끼치는 대한민국 이렇게 동아시아의 위상을 보면 미국이 두려워할 수밖에 없다. 미국은 왜? 오염수 방류를 찬성했을까? 동아시아를 견제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생각한다. 일본의 오염수의 경우 바다에 방류하는 방법말고도 다른 차선택이 존재했다. 물론 방류보다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많이 나갔을지라도 분명 방법은 존재했다. 그런데 일본은 그렇게 진행하지도 오히려 미국은 일본의 오염수 방류를 지지했다. 솔직히 한국도 일본 오염수.. 2023. 9. 22.
컴퓨터공학과들이 생각해야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차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차이점에 대해 개강하고 첫 논리회로 수업에서 교수님께서 우리들에게 던졌던 질문이였다.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아느냐? 이러한 질문에 대해 많지는 않지만 나를 포함 여러 학생들이 대답을 했는데 나온것들을 보면 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않는것 또는 만질수 있는것과 만질수 없는것이라는 대답이나왔다. 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차이점을 IT서비스업과 제조업의 차이를 보았다. 실제로 소프트웨어를 보면 어떠한 공장에서 물건을 생산하는것이 아닌 프로그램을 짜서거나 설계를 통해 소비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고 하드웨어의 경우를 보면 공장을 짓고 제조를 통해 만들어져서 이러한 대답을 했다. 국가적인 예로는 미국의 경우 하드웨어쪽보다는 소프트웨어쪽이 발달이 되었고 한국의 경우는.. 2023. 3. 3.
728x90
반응형